안녕하세요. 창원 부동산 데이터입니다.
이번 주 KB부동산 데이터를 정리해 드립니다.
자료 데이터 : KB부동산 통계 22.01.10 자료
부동산 통계 정리
(22.01.10 KB 부동산 데이터 기준)
01 주간 매매 및 전세 가격 변화 요약
1. 매매 가격
< 22.01.03 KB 부동산 자료 >
< 22.01.10 KB 부동산 자료 >
1) 금주의 매매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진주입니다. 진주는 지난주 7위에서 1위가 되었습니다.
그 상승률도 증가를 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2) 22년 이후 가장 많은 증감률을 보인 지역은 마산합포구와 파주입니다. 이 지역은 향후도 지켜보아야 하겠습니다.
3) 이번 주 세종의 하락률이 가장 높았습니다. 지난주 2위에서 1위로 올라섰으며, 그 하락폭도 커졌습니다.
4) 22년 이후 가장 많은 하락율을 보인 지역은 세종과 안양 동안구입니다. 이 두 지역의 하락이 언제 안정될 지켜보아야 하겠습니다.
2. 전세 가격
< 22.01.03 KB 부동산 자료 >
< 22.01.10 KB 부동산 자료 >
1) 금주의 전세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마산합포구 입니다. 마산 합포구는 지난주와 같이 이번 주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. 하지만, 그 상승률의 폭은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2) 지난 주와 같이 이번 주도 안양 동안구가 하락률이 가장 높았습니다. 안양 동안구는 매매와 전세 둘 다 하락률이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.
02 주요 지역별 아파트 매매 및 전세 가격지수
1) 주요 지역에서 이번 주 아파트 매매 가격지수의 가장 큰 특징 대전 매매가격지수 입니다. 대전이 처음으로 마이너스가 나왔습니다.
지난주까지 세종과 대구가 하락을 보였으나, 대전도 이제 하락을 나타내기 시작을 하였습니다.
2) 전국 대부분 지역이 거의 0에 가까워지고 있어서 마이너스 지역이 늘 것 같습니다.
03 전국 지역별 아파트 매매 및 전세 가격 증감률 (6개월 통계)
1. 매매 가격 증감률
1) 매매가격 증감률을 보면 더 이상 서울과 경기가 이제 0에 가까워졌습니다.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이너스가 될 것 같습니다.
2) 6개월 사이에 많은 대부분의 지역이 안정세로 돌아선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3) 세종의 경우는 마이너스 폭이 더 커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2. 전세 가격 증감률
1) 전세가격 증감률을 보면 경기는 이제 0입니다. 이 추세면 다음 주면 마이너스가 될 것 같습니다.
2) 6개월을 통해 보면 많은 대부분의 지역이 안정세로 돌아선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3) 이 추세면 얼마 안 지나서 많은 지역이 전세 가격 증감률도 마이너스로 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'부동산 데이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국 부동산 지표 분석 (KB 22.01.17) (1) | 2022.01.23 |
---|---|
전국 부동산 지표 분석 (KB 22.01.17) (0) | 2022.01.23 |
부동산 전국 통계 자료 분석 (KB 22.01.03) (3) | 2022.01.10 |
21년 6대 광역시 및 세종, 제주 부동산 흐름 분석 (0) | 2022.01.02 |
21년 서울 부동산 흐름 분석 (2) | 2022.01.01 |